미국 ETF에 대해 알아보자
미국etf란 특정 지수나 자산의 가격 움직임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펀드(Fund)를 말한다. 즉, 주식처럼 거래소에 상장돼 쉽게 사고 팔 수 있으며 증권계좌를 통해 실시간 매매가 가능하다. 또한 운용보수도 저렴하기 때문에 개인투자자들이 많이 이용한다. 최근 국내주식시장에서도 ETF 투자 열풍이 불고 있다. 하지만 해외ETF 시장 규모는 한국과는 비교조차 되지 않을 정도로 크다. 현재 세계 최대규모의 ETF 시장은 미국이다. 특히 미국에서는 다양한 테마형 ETF 상품들을 출시하며 대중화되고 있다. 이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ETF종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해외ETF 중 어떤 종목을 사야할까요?
우선 자신이 원하는 목표수익률을 설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연 10% 이상의 수익률을 원한다면 S&P500지수를 추종하는 ETF인 SPY 또는 VOO를 매수하면 됩니다. 반대로 5% 이하의 수익률을 원한다면 나스닥100지수를 추종하는 QQQ 혹은 SOXX를 매수하면 됩니다. 만약 장기투자를 한다면 배당금을 주는 ETF를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대표적인 배당주로는 AT&T, 리얼티인컴 등이 있습니다.
나스닥 100 vs 다우존스30 vs S&P500 뭐가 다른가요?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는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우량기업 30개사의 주가를 반영한 지수이며, 다우지수라고도 불린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Nasdaq Composite)는 IT 기업 비중이 높아 ‘기술주 벤치마크’로도 불리며,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산출된다. 마지막으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미국 경제상황을 대변하는 지표로 활용되며, 각 산업군별 대표기업 500개사를 선정해 시가총액 방식으로 평가한다.
해외주식형 ETF 보유기간과세제도란 무엇인가요?
국내상장 해외주식형 ETF 중 일부 펀드는 ‘보유기간과세’ 제도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연간수익금 및 손실상계 후 최종 실현손익에 대해 과표기준율*0.23%만큼 징수하는데요. 예를 들어 A씨가 1년간 2천만원의 수익을 내고 B씨가 같은 기간 4천만원을 벌었다면, 두 사람의 총 수익금은 6천만원이지만 이중 비과세 금액인 25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500만원에 대해 각각 23만원씩 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과표기준율: 해당연도 말 현재 순자산총액 합계액 대비 평가금액 비율
국내상장 해외ETF 수수료는 어떻게 되나요?
현재 국내증시에 상장된 해외ETF 총 6종목 모두 0.5% 내외의 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있다. 다만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 ETF는 중국본토 및 홍콩H 증시에 상장된 전기차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데, 선취수수료 1%+연보수 1.49%이고,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심천ChiNext ETF는 중국 본토A주중 신성장동력 업종에 속하는 중소형주에 투자하는데, 선취수수료 없이 연보수 2.09% 이다.
공모주 청약방법
주식시장에서는 기업공개(IPO)라는 절차를 통해서 새로운 주식들이 상장됩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 주주는 자신이 보유한 주식을 팔 수 있고, 투자자들은 새로 발행되는 주식을 살 수 있게 됩니다
psychologying.tistory.com
공매도란?
최근 주식시장에서 핫이슈인 공매도라는 단어 들어보셨나요?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의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뒤 실제로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다시 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아 차
psychologying.tistory.com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 발동이란 (0) | 2023.08.15 |
---|---|
공모주 청약방법 (0) | 2023.07.31 |
주식 용어 정리 1편 (0) | 2023.07.29 |
공매도란? (0) | 2023.07.27 |
ETF 투자 하는 방법 (0) | 2023.07.21 |